본문 바로가기

경제일기

사업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 의류 판매업 1편

반응형

 

SNS 광고 수익이 발생해서 주 업종을 1인미디어콘텐츠 창작자로 해두고

최근 이베이 셀러를 시작해서 새로운 사업을 부업종으로 추가했다.

 

[도매 및 소매업] -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

 

추가된 부업종은 위 사진과 같은데 이후 추가적으로 한 두가지 사업을 추가하려는데

부업종으로 추가할 수 있는 사업의 갯수가 몇 개나 더 있는지 궁금하다

아마 몇 개는 더 추가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의류사업 시작 계기

 

의류 사업은 이제 국내에서는 많은 성공신화가 있다.

무신사라던지 .. 무신사 라던지...

 

그래서 의류 사업에 뛰어드는 것 자체가 이미 레드오션인 시장에 발을 담구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것이 최근까지의 내 생각이었다.

 

하지만 최근 이베이에서 사업자로 물건을 몇개 팔아보고 느낀 점이 있다면

아 비단 또 그렇지만은 않을것이라는 게 느껴졌다.

 

의류시장 규모 2022 - 45조7787억원

 

일단 국내 의류시장의 규모는 2022년 기준 45조 7787억원이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코로나 19가 어느정도 가라앉고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회복되어 

의류시장의 매출로 직결되고 있는데

 

이미 수많은 개인 의류 샵은 물론 브랜드 의류까지 포화상태라고 생각한 의류시장에도

계속해서 새로운 의류 유통점이 생겨나고 있다.

 

의류는 결국 돌고도는 유행 속에서도 꾸준한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스타일의 유행을 선두주자처럼 만들어내는 브랜드와

그 유행을 뒤따라 가는 소매 유통업이 계속해서 생겨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의류는 직접 보이는것이기에 온라인 판매도 좋지만

결국 오프라인 스토어가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직접 입어보고 판단하고 구매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일련의 활동을 하기 위해 찾는 손님들을 통해

브랜드의 가치는 더욱 더 성장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은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오프라인 매장의 존재는 과거처럼 필수는 아니다.

소규모 의류 유통점의 경우에는 

온라인 판매로 유명세를 얻어 이후 오프라인에 입점하는 반대의 경우도 많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는 입점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좋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계약금,인테리어비용,유지비용)

 


온라인부터 시작해 오프라인으로 확장

 

내 의류사업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시작해 개인 웹사이트로 이전 후

다음 오프라인으로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은 개인 쇼핑몰 웹사이트 제작이다.

 

요즘은 웹사이트 제작도 발주를 통해 제작이 가능하지만

단가가 상상이상이다.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닌데 외주를 맡기니 돈이 많이 든다고 볼 수있다.

 

 

비용 절감을 위해 쇼핑몰 웹사이트는 직접 제작해보기로 하고

그동안 의류는 이베이,아마존 같은 플랫폼에서 판매를 해서 통계 수치를 쌓아보고자 한다.

 

 

반응형